이동 삭제 역사 ACL 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개요 == 속칭 프로젝트/플젝, [[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의 꽃이며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제도. 여러 파트로 분담된 게임 제작 과정을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경우 실무 경험을 익힐 수 있는 좋은 제도이다. 사실상 서강대 게임교육원을 국내 게임교육기관중 상위권으로 랭크시킬 수 있었던 일등공신. 해당 프로젝트를 재학 중 3회 이상 마쳐야 하는 등 필수 졸업요건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각 과의 전공수업에 준하게 중요한 수업이다. --이중고통-- 대체적으로 진행되는 팀 프로젝트는 기본적으로 기획 1명, 디텔1명, 그래픽 2명, 프로그래머 1명 총 5명 재학생 구성으로 게임을 개발한다.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추가 인원을 배정 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인력을 영입하는것도 가능하나 내부인력에서 수급을 하지 못할 경우에만 허용된다.[* 개인적인 사유가 있는 경우, 실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경우 교수의 지도하에 개인 프로젝트로 진행하기도 한다. 이는 주로 게임소프트웨어개발 학과 학생이 진행하는 편.] 처음 시작되었을 06~07년도에는 기본기가 부족한 1학년부터 바로 투입하고, 한 팀당 15명(..)이 넘나드는 대규모 인원 탓에 관리가 엉망이 되는 등 엄청난 실패율을 자랑했다. 08년도부터는 2학년 2학기(4학기에 들어가는)부터 진행된 뒤로는 이전보다는 발전된 프로젝트 결과물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09년도에 한번 더 바뀌어 3학년 이상 인원으로만 편성되다보니 자연스레 전학기 플젝에 비해 적은 인원과 팀이 구성되었다. 최근에는 다시 2학년 2학기부터 진행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일년을 진행해도 돌아가는 프로젝트가 그나마 한두개였던 시절에서, 이제 몇몇 우수작은 졸업 작품 전시회 기간에 외부인에게 시연되거나, G-star에서도 공개가 되고 언론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상당히 괄목상대하게 된 부분. 진행 공지는 https://sites.google.com/site/cskprojectmanager/home 에서 확인 가능하며 이제껏 프로젝트에서 제작된 게임들은 https://www.soganggame.ac.kr/egallery/?eg_year=&filter=project 에서 볼 수 있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6.143.199)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